한 학기동안 열심히 후꾸루마꾸루 프로젝트를 말았는데요. 끝나고 나니까 개선할게 좀 보이더라구요. 저희 AI 기반 감정 케어 다이어리 서비스인 "토닥"은 포인트 로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 포인트는 출석해도 주고, 일기 써도 주고, 댓글 써도 주고사용은 나무 성장 시킬 때 쓸 수 있습니다. 그만큼 분류 기준이 많은데, 로그가 많아지면 사용자가 분류기준으로 검색했을 때 시간이 좀 오래 걸릴 거 같더라구요. MySQL로 EXPLAIN 분석해보니 역시나 조회하려 하면 Full Table Scan이 발생하네요.비용이 상당합니다 아주. 근데 지금 로그에 여러 칼럼이 있습니다.user_id, point_type, point_status, created_at 이 있는데, 어떤 순서로 복합 인덱스를 적용해야할까요? ..
이건 첫 번째 레슨, 복합 인덱스 쓰기
한 학기동안 열심히 후꾸루마꾸루 프로젝트를 말았는데요. 끝나고 나니까 개선할게 좀 보이더라구요. 저희 AI 기반 감정 케어 다이어리 서비스인 "토닥"은 포인트 로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 포인트는 출석해도 주고, 일기 써도 주고, 댓글 써도 주고사용은 나무 성장 시킬 때 쓸 수 있습니다. 그만큼 분류 기준이 많은데, 로그가 많아지면 사용자가 분류기준으로 검색했을 때 시간이 좀 오래 걸릴 거 같더라구요. MySQL로 EXPLAIN 분석해보니 역시나 조회하려 하면 Full Table Scan이 발생하네요.비용이 상당합니다 아주. 근데 지금 로그에 여러 칼럼이 있습니다.user_id, point_type, point_status, created_at 이 있는데, 어떤 순서로 복합 인덱스를 적용해야할까요? ..
2025.07.29